엠에스에서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윈도우즈 폰의 존재는 많은 사용자들에게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국내에 아직 출시가 되지도 않았고, 해외시장에서도 아직은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기때문입니다. 저 역시도 UX관련 세미나에 다니면서 알게 된 것이었구요. 이 윈도우폰이 안드로이드폰과 아이폰의 양자대결구도인 스마트폰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몰고 올 수 있을지 한번 알아볼까요?


밑에있는 버튼들을 하나씩 보면 가운데가 윈도우즈 홈버튼, 우측이 검색버튼, 왼쪽이 뒤로 돌아가는 버튼이군요. 이 부분에 있어서는 크게 다를 것은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위 사진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화면을 보시면 타일로 구성된 아이콘들이 보일 것입니다. 아이폰의 부드럽고 유려한 그라데이션이 아니라, 각있고 모던한 사각타일 아이콘이군요. 정말 색다릅니다. 윈도우즈 폰의 개성이 풍겨져 나오기 시작하는 군요.

무엇보다도 버튼이라고 느껴지게 하는 그라데이션이나, 그림자들이 없습니다. 모던하면서도 시원시원한 느낌이 잘 전달이 되기는 한데 기존 스마트폰의 스타일에 적응된 사용자라면, 조금 어색한 느낌까지 들 수 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각종 앱들을 실행시켜나 나오는 화면들은 어떨까요? 페이스북 화면을 보면서 얼마나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겟습니다.


정말 기존 스마트폰에 질리도록 쓰이는 버튼들은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군요. 마치 홍보지나 잡지를 보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헌데 우측에 조금 짤려보이는 화면은 무엇일까요? 옆으로 스크롤을 해볼까요? 


내 그렇습니다.윈도우즈 폰은 다음 페이지로 가는데 있어서 옆으로 스크롤을 하는 것이 가장 대중적인 방법입니다. 마치 디지털 잡지를 둘러보는 느낌이 들지 않으세요?  이게 바로 윈도우즈 폰 스타일입니다. 물론 밑에 네비게이션이 있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이번엔 트위터를 보실까요?


하단에 메인 네비게이션이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마찬가지로 버튼이라고 할 만한 그라데이션이나 그림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저 아이콘의 의미가 궁금하다면, 우측상단에 점세개를 클릭하면 텍스트가 올라오면서 글로 무슨 아이콘인지 알려줍니다. 

독특한 네비게이션과 그래픽스타일 이것이 바로 윈도우즈폰이 다른 스마트폰과 차별되어지는 점입니다. 안드로이드폰이 항상 아이폰과 비교당하며, 그래픽 스타일에서 뒤지며 UX면에서도 뒤쳐진다는 말을 많이 듣고 있습니다. 이번 망고폰은 적어도 그래픽 스타일면에서 만큼은 아이폰과 비교해도 그 개성을 인정해 주어야 할 것같습니다. 시원하고 모던한 느낌을 주는 그래픽 스타일은 개인적으로 안드로이드보다 윈도우즈 폰에 좀더 호감이 가게 하는 요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개성강한 스타일과 UI에도 문제점은 있다고 보여집니다. 크고 시원한 UI를 제공하지만, 홈화면에서 너무 적은 수의 아이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앱이 많을수록 원하는 앱을 찾아가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요구하게 되는 점이 그 첫번째입니다. 두번째로는 너무나 개성강한 UI스타일로 인해서, 여러가지 개성을 가진 앱들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을 보일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모든앱이 윈도우즈 폰처럼 시원하고 모던한 느낌을 줄 필요는 없으므로, 커스텀한 디자인을 만들어 선보여야 것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윈도우즈폰 UI가이드에 따라가지 않는다면, UX를 제공함에 있어서 일관적이지 못한 경험을 줄 것이므로 어느정도 영향을 받게 되는데, 대표적 SNS인 트위터나 페이스북의 적용예를 본다면 그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입니다.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은 다양하고 풍부한 앱으로 사용자들에게 호응을 얻어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도 윈도우즈 폰스타일의 앱들이 많이 보급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고, 앱들도 그만의 고유한 개성을 유지한 채, 윈도우즈 폰의 독특한 그래픽 스타일과도 융합되어진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것입니다. 그래야만, 비로소 윈도우즈 폰의 시대가 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윈도우즈 폰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마이크로 소프트의 윈도우즈폰 사이트를 방문해 보세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폰 사이트 ( http://www.microsoft.com/windowsphone/ko-KR/default.aspx ) 

요즈음의 소셜앱들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소셜 무한확장을 내세우려 하는 것 같습니다. 트위터를 필두로 자신의 이야기를 다른 사람들이 자유롭게 볼 수 있는 앱들이 상당히 많이 나와있는 상태입니다. 심지어 트위터보다는 조금 폐쇄적이라고 할 수 있는 페이스북마저도 구독하기 기능을 추가하여 굳이 친구가 되지않아고 자신의 이야기를 받아서 볼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 반대의 앱이 나왔습니다. 최대 50명까지 자신의 지인들과 함께 자신의 사진과 이야기 및 위치를 공유하는 앱이 나온 것 입니다. 앱의 이름은 PATH! 


이 앱이 나오게 된 연유는 무엇일까요? SNS는 트위터, 페이스북으로 정리되었고 위치기반(LBS) 체크인서비는 '포스퀘어'로 정리되어가고 있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게임적요소를 집어넣어 (Gamification) 포스퀘어와 대적하려는 앱들도 슬슬 방향을꾸거나 사라져 가고있지요. 그런상황에서 정반대의 앱을 생각해 출시해 낸 것이 바로 Path라고 생각합니다.

페이스북이 대세다 트위터가 대세다 하면서 자신의 아이덴터티를 외부에 드러낼 것을 종용받고 있는 요즘, 정말로 개인이 필요로 하는 것은 지인들과의 교류지 않을까 합니다. 저의 예를 들면, 무언가 멋있는 것을 촬영을 했고  그 사진을 지인들과 보고 싶지만 모르는 사람과는 공유하고 싶지않은 개인적인 사진들이 있었습니다. 트위터등에 올리기에는 조금 부담을 느끼지요. 신경도 사실 많이 쓰이구요. 이럴때 쓰일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path라는 앱이라고 생각합니다.

인터페이스 또한  심플하고 단순해서 사용자들이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아이폰, 안드로이드 버전 모두 나와있습니다. 지금 바로 지인들과 자신의 즐거운 경험들을 공유해보지 않으시겠어요? 
 

+ Recent posts